본문 바로가기
# 재테크/## 주식

K-컨텐츠 - 웹툰 IP 활용(키다리스튜디오)

by DSHAN 2021. 3. 7.

K-컨텐츠 - 웹툰 IP 활용(키다리스튜디오)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주식 관련 글을 쓰네요.

 

그동안 세계 증시가 왔다갔다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가고 있고 앞으로도 당분간 이럴거 같네요.

 

게다가 연기금의 리밸런싱으로 인해 좋지 않은 상황입니다. (언제까지 팔련지....ㅠㅠ) 

 

이럴수록, 지수와 상관없이 좋은 종목을 꾸준히 찾아보고 매집하고 기회를 노려봐야죠.

 

 

그럼 본론으로 가서, 제가 키다리스튜디오를 왜 샀는지 말씀드릴게요.

 

1. 웹툰의 시장 규모 ▲ (연평균 5.9% 성장)
2. 웹툰 IP 을 활용한 드라마 제작 ▲  '스위트홈', '승리호', '경이로운소문' 등 (스튜디오드래곤 등)
3. 넷플릭스의 5600억 한국 투자 ▲  참고 : view.asiae.co.kr/article/2021030511461826379
4.  글로벌 OTT 경쟁 참고 : 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5959
5.  국내 점유율 4위 레진코믹스 인수 (1위 : 네이버웹툰, 2위 : 카카오페이지, 3위 : 다음웹툰)
6.  엔씨소프트의 키다리스튜디오 지분 확보 & 사업 영역 확장(with MBC)
참고 : newsis.com/view/?id=NISX20210303_0001357810&cID=10601&pID=10600

 

위의 6가지 이유 외에도, 성장성 Fundamental적으로 제 기준에 적합했습니다.

 

- Information

* 시가총액 약 2,200억
* 매출액 113억(1분기) + 117억(2분기) + 120억(3분기) + 126억(4분기 예상) = 476억(예상)
=> 레진코믹스 매출액 반영 X
* 영업이익 11억(1분기) + 16억(2분기) + 13억(3분기) + 16억(4분기 예상) = 56억(예상)
=> 레진코믹스 영업이익 반영 X
* 전년도 대비 - 2019년도 : 매출액(267억), 영업이익(7억)
- 2018년도 : 매출액(196억), 영업이익(3억)
=> 웹툰의 시장이 커지고 있으며 매출액, 영업이익에서 확인할 수 있음.
* 자산통계 유보율 : 약 250%, 부채율 : 약 70%
(유동자산 : 24,691,216,028원, 유동부채 : 10,544,411,693원) 유동자산 > 유동부채 (ok)
* PER  약 63배
* 사업 - 봄툰 : 국내 최대 여성전문 웹툰 서비스

- 델리툰 : 프랑스의 한국형 웹툰 유로 플랫폼

- 프로듀싱 : 웹툰 타이틀을 제작하고 유통

- 소설 : 웹소설 IP

- 레진 : 국내 4위 웹툰 서비스 

=> 전체적으로 2019년 대비, 2020년 매출이 상승.

- Opportunity

 

=> 작성하다보니 위의 제가 키다리스튜디오를 산 이유와 겹치는 부분이 많네요. 윗 부분을 참고해주세요~

 

- Risk

 

=> 전세계적으로 공룡기업의 OTT 진출로 인해 소외받을 수 있으나, 반대로 기회가 될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 그래프 및 매매동향

 

일봉 및 주봉으로 확인 할 수 있듯이, 저점 대비 많이 올라온 상태입니다. 최고가 15950원 찍고, 현자 가격까지 떨어졌습니다. 급등했기 때문에 일봉상으로 그래프는 60일 선만 지켜준다면 반등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요즘 매매동향은 외인 기관 모두 팔자이기 때문에 크게 보진 않지만, 최근 계속 팔던 연기금이 관심을 보인 점에서 앞으로 연기금의 포지션이 어떨지는 지켜봐야겠네요.

 

키다리스튜디오 일봉
키다리스튜디오 주봉
키다리스튜디오 1달 매매동향

 

- 결론

 

=> 성장하고 있는 섹터 ok, 엔씨소프트의 지분 확보, 믿어보자 K-컨텐츠 !!

 

 

 

*  이 곳은 제가 투자한 종목, 앞으로 유망한 종목을 공부하고 정리하는 곳으로 매매를 추천하지 않습니다.